Kenvue(켄뷰) & 한국 구강케어 시장 정리

회사 개요

Kenvue는 2023년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에서 분사된 세계 최대 규모의 소비자 건강(Consumer Health) 전문 기업입니다. 본사는 미국 뉴저지(New Jersey)에 있으며, 뉴욕 증시 티커는 KVUE입니다.

대표 브랜드

  • 구강케어: Listerine®
  • 스킨케어: Neutrogena®, Aveeno®, Clean & Clear®
  • 진통제: Tylenol®, Motrin®
  • 퍼스널케어: Johnson’s®, BAND-AID®

→ 모두 글로벌 1~2위 포지션을 가진 브랜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비전 (Vision)


“We believe in the extraordinary power of everyday care.”
“일상적인 케어의 힘으로 세상을 더 건강하게 만든다.”


핵심 가치 4가지

  • Put People First – 사람 중심
  • Care Fiercely – 진심 어린 케어
  • Earn Trust with Science – 과학으로 신뢰 구축
  • Solve with Courage – 용기 있게 혁신

즉, ‘과학 기반의 케어 브랜드 하우스(House of Brands)’로서, 건강·피부·구강 등 일상 속 웰니스 전체를 연결하려는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 사업 전략 (Strategy)

  1. 브랜드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 개별 브랜드의 독립적 정체성 강화
    - 프리미엄 및 기능 중심 제품 라인 확장
  2. 과학 기반 혁신 (Science-Backed Innovation)
    - 피부과학·구강미생물·통증완화 분야 R&D 강화
    - AI 및 디지털 리서치로 소비자 인사이트 확보
  3. 디지털·이커머스 가속화
    - Amazon, 쿠팡, Shopee 등과 파트너십 확대
    - DTC(Direct to Consumer) 채널 강화 → CRM 구축
  4. 신흥시장 확대
    - 아시아(한국·인도·인도네시아), 남미 중심 성장 전략
    - 로컬 맞춤형 포뮬러 및 캠페인 전개
  5. ESG & 지속가능성
    - 포장재 플라스틱 감축, 탄소중립 목표
    - 윤리적 공급망 관리


💰 매출 및 성장 트렌드

항목요약 수치 / 설명
2023년 연간 매출 약 157억 달러 (약 21조 원)
2024년 상반기 성장률 +3~5% YoY
순이익률 약 12~13% (안정적 현금흐름)
카테고리별 비중 (대략) Self Care: 40% / Skin Health & Beauty: 35% / Essential Health: 25%

성장 포인트: 디지털 전환 및 신흥시장 확대가 핵심이며, 특히 프리미엄 오럴케어(구강관리) 시장의 성장으로 Listerine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요약 포인트 (면접용 키워드)

  • 소비자 건강(Consumer Health) 전문 글로벌 리더
  • 존슨앤존슨에서 분사된 독립 기업 (2023년 IPO)
  • 과학기반 + 사람중심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
  • 아시아 성장 시장 중심, 디지털/이커머스 강화
  • 안정적 성장세 (연매출 20조 원 수준)


한국 법인 현황 및 전략


1. 법인 정보 & 조직

  • 국내 법인명으로는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유)(Kenvue 관련)”이 등록되어 있으며, 구강청결제·화장품·구강 도소매를 포함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소: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92 (공개된 기업정보 기반)
  • 기업 규모: 약 100~200명 내외(공시자료 및 채용 포털 참조)


2. 한국 시장 전략 키포인트

  • 글로벌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로컬화(Local market) 전략을 전개
  • 특히 구강 케어(oral care)생활 케어(consumer health) 카테고리에 집중할 가능성이 큼
  • 유통 채널: 대형마트·약국·편의점·온라인(이커머스) 병행 → 채널 맞춤 프로모션·디지털 마케팅 필요


3. 한국 시장에서 직면한 기회 및 과제

  • 기회: 무알콜·미백·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온라인 구매·구독모델 확대
  • 과제: 로컬 브랜드(가그린·페리오 등)의 강세, 가격 민감도, 치열한 프로모션 경쟁
  • 특이사항: 한국 내 공식 연간 매출·시장점유율 공개 자료는 제한적 — 면접에서는 “공개자료가 제한적이므로 유추”라는 표현 권장


면접에서 활용할 만한 이야기 거리

  • “한국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트렌드 선도국으로, 무알콜·라이프스타일 구강케어·디지털 구매채널에서 선행 사례가 많다.”
  • “글로벌 자산을 로컬화하여 한국 소비자 행동·미디어·채널에 최적화된 캠페인이 필요하다.”
  • “오프라인(대형마트·약국)에서 신뢰·인지도를 쌓고, 온라인에서는 구독·라이브커머스·인플루언서로 젊은층을 공략하자.”
  • “프로모션 구조와 ROI 분석을 바탕으로 단기 매출과 장기 브랜드 가치를 균형있게 설계해야 한다.”


✅ 최근 시장 규모 및 성장 수치 (한국 구강케어)

아래는 리포트 기반 요약 (리포트마다 수치 차이가 있으므로 면접 시에는 '리포트에 따라 상이'라는 언급 권장)

자료 항목요약
한국 구강케어(Oral Care) 시장 규모 (2024 추정) 약 US$ 975.9 million (2030년 약 US$ 1,448.9M, 2025–30 CAGR ≈ 6.9%) — Grand View Research 기반 추정
다른 보고서 추정 2024년 약 US$ 561.15 million, 2025–33년 CAGR 약 6.32% — 리포트별 차이 존재
세부 트렌드 치약·칫솔 등 중 가글/구강세척(Mouthwash) 제품군이 향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온라인 vs 오프라인 채널 트렌드

  • 기타 위생용품(구강케어 포함) 카테고리에서 한국 온라인(e-commerce) 비중 증가 추세
  • 예: 관련 카테고리 온라인 비중이 약 53.9% → 2029년 약 57.9%까지 증가 전망
  • 구강케어 단독의 정확한 온라인/오프라인 비중은 공개 자료가 제한적이므로, 면접에서는 “온라인 채널 증가 추세”로 언급하는 것이 안전
  • 향후 트렌드: 프리미엄화·기능성 제품·구독/온라인 기반 반복구매 강화


🎯 면접용 시사점 정리

  • 한국은 시장 규모 자체는 북미·유럽보다 작지만, 가글/구강세척 세그먼트의 성장률이 빠르다.
  • 옴니채널 전략 + 디지털 경험 강화이 브랜드 성장의 핵심.
  • 기능성(화이트닝·민감구강·무알콜 등) 제품이 향후 성장 엔진이 될 가능성 큼.
  • 시장 성장률(연 6%대) 대비 브랜드 성과 목표를 설정하면 좋음(시장 평균 이상 목표 권장).

100ml 가격비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