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nvue 및 LISTERINE® 브랜드 분석


1. Kenvue(켄뷰) 개요, 비전·전략, 매출·성장 추이

비전/전략/회사 소개

Kenvue는 “the extraordinary power of everyday care”라는 슬로건 아래, 일상 케어 제품 중심의 순수 소비자 건강(consumer health)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investors.kenvue.com+2investors.kenvue.com+2

주요 브랜드로는 Neutrogena®, Aveeno®, Tylenol®, Johnson’s®, BAND-AID® Brand, 그리고 LISTERINE® 등이 있고, 전 세계 약 1.2 억명(12억명이라도 손익계산 상 나옴)에게 제품이 전달되고 있다는 공식 언급이 있습니다. investors.kenvue.com

2023년까지 약 135년 이상의 역사, 165개 이상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순수한 “consumer health” 플레이어 중에서는 매출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임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investors.kenvue.com+1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및 ESG 측면에도 힘쓰고 있고, 2024년 ‘Healthy Lives Mission Report’ 등을 통해 “Healthy People / Healthy Planet / Healthy Practice”라는 3개의 축으로 전략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Kenvue

매출/성장·실적 추이

2024 회계연도 기준 Kenvue의 연간 매출(Net sales)은 약 US$15.455 billion (약 15 455 백만 달러)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Kenvue+1

유기적 매출(organic sales) 증가는 2024년 약 1.5%였고, 외환(headwind) 및 통화영향이 −1.4% 정도로 작용했습니다. Kenvue

회사 측의 2025년 전망은 “Net sales change of ­1% to +1%” 범위, 유기적 매출(in Organic) +2%~+4%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investors.kenvue.com+1

다만 최근 보고된 분석에서는 일부 카테고리(예: Self Care, Skin Health & Beauty)에서의 부진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Investing.com 한국어+1

전략 방향 및 시사점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정리 및 집중: 불필요한 SKU(재고관리단위)를 줄이고, 제품 혁신/디지털 역량 강화에 투자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오렌지보드

가격(value-realisation)과 공급망 효율성에 집중: 2024년 Gross profit margin이 전년 대비 약 200bps 확대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investors.kenvue.com

디지털 중심 마케팅, E-commerce 및 글로벌 시장 확대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예컨대,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의 캠페인 등도 진행되어 왔습니다. Campaign Brief Asia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 인플레이션, 소비심리 약화, 통화영향이 성장에 제약이 되고 있다는 점은 반드시 면접에서 언급 가능한 리스크입니다.

한국 시장/한국 법인 측면

한국 시장에서 Kenvue 혹은 LISTERINE이 직접적으로 독립적으로 발표한 한국법인 사업전략 자료가 많은 형태로 공개되어 있진 않지만, 한국 유통/프로모션 측면에서 리스테린이 국내 유통채널(예: 대형마트, 편의점, 온·오프라인)에서 적극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는 기사도 있습니다. SportsChosun

특히 한국의 구강케어 시장 트렌드(구강청결에 대한 관심 증가, 온라인 채널 확대, 프리미엄화 등)가 맞물려 리스테린이 보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서의 확장을 모색 중입니다.

요약

  • “아이코닉(Iconic) 브랜드 중심”, “일상 케어(everyday care)”라는 브랜드 철학
  • 글로벌 최대 소비자건강(CPH: consumer personal health) 회사로서의 위상
  • 최근 성장둔화/경영환경 리스크 존재 (외환, 소비 둔화, 경쟁 심화)
  • 혁신·디지털·글로벌 시장 확대·아시아/한국 시장 중요성
  • 지속가능성/ESG 활동 강화 (브랜드 이미지 제고 관점)
 
 

2. 리스테린(LISTERINE) 브랜드 

브랜드 역사 및 핵심 셀링포인트




LISTERINE은 원래 외과용 소독제(antiseptic)로 1879년 개발되었고, 이후 구강청결(구강세균 제거)에 대한 효능이 인정되어 일반 소비자용(OTC) 구강세척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리스터린 중동+1

“#1 dentist and hygienist recommended mouthwash brand”이라는 문구가 공식 사이트에 나와 있습니다. 리스터린

핵심 성분으로는 자연 유래 에센셜 오일(예: thymol, eucalyptol, menthol, methyl salicylate)이 포함되어 있고, 플라그(plaque)·치은염(gingivitis)·입냄새(bad breath) 등의 구강 문제를 과학적으로 케어한다는 포지셔닝입니다. 리스터린+1

마케팅 측면에서, 특히 아시아 시장(한국 포함)에서 “Bring Out The Bold” 캠페인 등으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까지 연결하는 전략을 펼친 적이 있습니다. Campaign Brief Asia

시장 포지션 및 주요 전략

구강세척제(mouthwash) 카테고리에서 선도 브랜드로서 인지도가 높습니다. 예컨대 “LISTERINE did not make mouthwash as much as it made halitosis(입냄새증)”라는 마케팅 역사가 인용되곤 합니다. latterly.org+1

제품 라인업도 다양화되어 있으며, 예컨대 ‘Zero Alcohol’ 제품, 화이트닝 기능 제품, 마일드 맛 제품 등 각기 소비자 니즈에 따른 세분화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리스터린

국내 한국시장에서도 “Cool Mint Mild Taste Daily Mouthwash 250ml” 제품이나 “Advanced White Mild Taste 500ml” 같은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칫솔+구강세정”과 연계된 대형마트 프로모션도 진행 중입니다. Care to Beauty
가격 및 유통전략

가격대에 대한 구체적인 글로벌 수치는 공개된 바 적지만,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프리미엄 포지셔닝이 가능하며, 가격 인상을 통한 실적 개선 전략도 Kenvue 전체 차원에서 언급된 바 있습니다. 오렌지보드+1

유통채널 측면에서는 오프라인(대형마트, 편의점, 약국) + 온라인(e-commerce) 채널을 모두 활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대형마트 프로모션과 함께 온라인몰/뷰티·헬스 플랫폼을 통한 판매가 활발합니다. (예: ‘1+1’ 프로모션, 구강관리 행사) SportsChosun

마케팅·프로모션 측면에서 소비자 인지 강화 및 라이프스타일화 전략이 중요하며, 구강케어의 ‘필요’ 단계 인식(need recognition) → 침투(Penetration) → 리텐션(Retention) 관점까지 캠페인이 설계된 바 있습니다. repositorio.iscte-iul.pt

국내외 시장 트렌드 및 대응

전 세계적으로 구강헬스케어 시장에서는 “구강관리 습관 강화”, “프리미엄화”, “온라인채널 확대”, “남성·젊은층 타깃 확대” 등의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LISTERINE은 이러한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맛·향·포뮬러 개선, 무알콜 제품 확대, 라이프스타일 중심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시장에서는 특히 ‘입냄새’, ‘구강유해세균’, ‘프리미엄 구강케어’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에 맞춰 리스테린이 구강세척 + 치간관리 + 구강토탈케어 브랜드로서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한국에서 리스테린+칫솔 브랜드 공동전시/프로모션을 통해 구강 전체 체계적 관리 메시지를 강조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SportsChosun

  • “임상적으로 검증된 포뮬러(에센셜 오일 조합) + 오랜 헤리티지(135년 이상) + 치과전문가 추천 브랜드”라는 삼박자
  • 단순한 구강청결이 아니라 “구강 건강(플라그·치은염) +입냄새 + 전체 구강케어”를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 브랜드
  • 라이프스타일화: 단순 구강세척이 아니라 ‘깊은 클렌징 후 자신감 있는 외출’이라는 메시지
  • 디지털/온라인 채널 강화, 지속가능한 포장·브랜드 활동(예: 플라스틱 저감, 환경책임)과 같은 사회적 책임 측면


3. 필요 역량

  • 브랜드 전략 실행: 연간 사업계획(Annual business plan) 및 P&L, 시장점유율 지표 책임
  • 소비자 프로그램 실행: 제품 광고, 패키징, 프로모션 활동 운영 및 효과 최적화
  • 마케팅 KPI 분석: 성장 요인 파악, 전략적 시사점 제안
  • 내부 부서(고객전략, 세일즈, 재무, 규제, 공급망, 수요기획)와의 협업
  • 에이전시 및 사업제휴 관계 관리
  •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 및 전략적/핵심 고객 대응
  • 필요 역량 및 내가 준비할만한 포인트

P&L/재무 이해 및 사업계획 수립 역량

매출, 비용, 이익 구조를 이해하고 브랜드 별 사업계획을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면접 시 “어떤 방식으로 연간 브랜드 플랜을 세울 것인지”, “시장점유율·매출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은?” 등의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 및 KPI 해석 역량

마케팅활동이 매출/시장점유율/브랜드 인지도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하고, 활동 후 효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컨대 “프로모션 후 시장점유율이 늘지 않았다면 어떤 원인을 분석하고, 어떻게 대책을 제시할 것인가?” 같은 시뮬레이션 준비가 좋습니다.

브랜드/마케팅 실행 역량

캠페인 기획, 패키징 리뉴얼, 프로모션 설계, 디지털 마케팅 등 다양한 마케팅 믹스 경험이 중요해 보입니다. “디지털 레버(digital levers)를 포함한 마케팅 믹스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갖는 것이 유리합니다.

크로스펑셔널 협업 역량

세일즈, 재무, 공급망, 규제 등 다양한 부서와 협업해야 하는 역할이므로, 복잡한 프로젝트를 리드한 경험이나 팀 내 조율 경험을 얘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략적 사고 및 창의력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경쟁환경 속에서 브랜드가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신제품 기회”, “채널 다각화”, “프리미엄화” 등 아이디어도 면접에서 강점이 됩니다.

소비자 및 채널 이해

특히 CPG(Consumer Packaged Goods), OTC(Over-the-counter) 제품 경험이 선호된다는 JD 언급이 있으므로, 구강케어/헬스케어/OTC 카테고리에 대한 이해를 준비하면 좋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및 협상역량

내부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외부 에이전시/파트너사와의 관계에서도 영향력 있게 일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한국 시장에서 리스테린이 갖는 경쟁 우위는 무엇인가?”
“구강세척제 시장에서 최근 소비자 트렌드(예: 무알콜, 친환경, 남성플러스뷰티, 온라인 구매 증가)는 무엇이며, 리스테린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만약 리스테린이 한국에서 3년 내 시장점유율 X %포인트 성장해야 한다면, 당신은 어떤 브랜드플랜을 설계할 것인가?”
“패키징 리뉴얼 또는 신제품 출시를 담당한다면 어떤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기획하겠는가?”
“디지털 채널(전자상거래, SNS 등) 중심으로 리스테린 브랜드를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내부 세일즈·공급망·규제 부서와 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챌린지는 무엇이며, 당신이 리드한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브랜드 마케팅 활동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KPI를 설정할 것인가?”
“예산이 제한적일 때 브랜드 마케팅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하겠는가?”

  • Kenvue는 글로벌 소비자건강(CPH) 시장에서 아이코닉 브랜드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회사이며, 최근에는 성장 환경이 다소 도전적이지만 브랜드·포트폴리오·디지털·글로벌 시장 확대 등이 핵심 과제입니다.
  • 리스테린은 구강세척제 시장에서 매우 강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적 백그라운드, 높은 전문가 추천도, 라이프스타일 브랜딩을 갖춘 브랜드로, 이를 한국 시장에서 어떻게 지속 성장시키느냐가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 면접에서는 위 브랜드·회사 맥락을 알고, 직무 요건(브랜드 전략 실행, P&L 책임, 마케팅 실행, 분석 역량, 협업 역량 등)을 본인의 경험과 연결해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특히 한국 시장 맥락, 디지털·온라인 트렌드, 프리미엄화 및 소비자 인식 변화, 경쟁환경 변화 등에 대해 본인의 관점(아이디어)까지 준비해 가면 좋습니다.

4. 트렌드 분석

  • 한국P&G의 구강케어 브랜드 오랄비가 29일까지 전국 이마트 매장에서 구강청결제 브랜드 리스테린과 ‘구강케어 완벽조합 기획전’
  • 리스테린, '2025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구강청결제 부문 수상
  • 드비전, 리스테린과 함께 아침머꼬 참여 학교 대상 구강케어 교육 활동 펼쳐


5. 리스테린 심층 분석 

5-1. 한국 시장 규모 & 성장(요약)

한국(Oral Rinse / Mouthwash) 시장 규모(추정)

여러 시장 리포트의 합산으로 보면 2024~2025년 기준 **한국 시장은 수십 ~ 수백밀리언 달러(USD 80M~420M 범위의 추정치)**로 보고됩니다. (리서치 기관별 추정치가 상이하므로 “리포트에 따라 상이하지만 2024년 약 USD 80M ~ 400M 규모(아태·글로벌 데이터 대비 한국은 소형 시장)” 식으로 표현하면 안전합니다). 딥마켓인사이트+1

글로벌/아태 트렌드

로벌 마우스워시 시장은 2024~2025년 약 USD 8.1B(2024) 내외, 아시아·태평양이 성장 속도가 빠른 지역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전세계 CAGR은 연평균 약 4–6%대 전망(리포트별 상이).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1

핵심 포인트(면접에서 사용 가능): “한국 시장은 절대 규모는 북미/유럽 대비 작지만 프리미엄·치주(therapeutic)·무알콜·코스메틱 연계(화이트닝) 등 고부가 영역에서 성장 여지가 크다.” 딥마켓인사이트

5-2 한국 주요 경쟁사(브랜드) — 현황 요약

(시장 채널: 대형마트·약국·편의점·온라인(이커머스) 병행)

  • 가그린 (동아제약) — 오래된 국내 브랜드·인지도 강함(1982년 출시). 제형·라인업 다양, 국내 마케팅·유통 강점. 동아일보+1
  • 페리오 가글 (LG생활건강) — 페리오 라인의 가글 제품, 대용량·가정용 라인 강세, 유통력·프로모션 우수. LG H&H+1
  • 덴티스테 / 기타 네이티브·니치 브랜드 — 자연·허브·나이트케어 등 콘셉트로 틈새시장 공략. (덴티스테 등 한국 토종·전문형 브랜드 존재). 덴티스테공식스토어+1
  • 글로벌 플레이어들 — LISTERINE (Kenvue/J&J 계열, 글로벌 리더), Colgate Plax 등 다국적 브랜드들도 유통(인지·과학적 포지셔닝이 강점). kenvuepro.com+1

“리스테린은 글로벌 브랜드 자산(임상/치과 추천)과 ‘헤리티지’가 강점이고, 로컬 브랜드(가그린·페리오)는 가격·유통·로컬라이제이션에서 우세하다.” kenvuepro.com+1

5-3. 리스테린(LISTERINE) — 한국 시장 SWOT (간결·면접 친화적)

Strengths (강점)
  • 전세계 및 전문가(recommended by dentists)에서의 높은 신뢰도·임상 데이터 보유. kenvuepro.com
  • 다양한 SKU(무알콜, 화이트닝, 마일드 등)로 전 연령/니즈 타깃 가능. kenvuepro.com
  • 글로벌 마케팅 자원(캠페인/콘텐츠), R&D 기반. Mordor Intelligence

Weaknesses (약점)
  • 로컬 브랜드 대비 가격 민감도·가성비 문제(특히 대용량·프로모션에 민감한 한국 소비자).
  • ‘강한 맛/알코올’ 이미지 때문에 일부 소비자(어린층·민감층)에 거부감. (이미 무알콜 라인으로 대응 중) kenvuepro.com

Opportunities (기회)
  • 디지털·D2C·이커머스 채널 확장으로 젊은층·구독모델 확장 가능.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 구강건강 인식 증대 → therapeutic/치주 개선/화이트닝 등 프리미엄 제품 수요 증가. 딥마켓인사이트
  • 로컬 파트너십(치과·헬스앱·뷰티플랫폼)으로 라이프스타일 연계 캠페인 가능.

Threats (위협)
  • 로컬(가그린, 페리오)과의 가격·프로모션 경쟁 심화. 동아일보+1
  • 규제(의약외품/기능성 표방 관련) 및 원자재·환율 비용 변동 영향.

“리스테린은 ‘과학·전문성’ 자산을 바탕으로 **로컬화된 가격·패키지 전략 + 디지털 경험(이커머스·구독)**으로 한국 내 추가 성장 여지가 충분합니다.” kenvuepro.com+1


5-4. 경쟁사 비교표

가그린(동아제약): 국내 인지도 최고·오랜 헤리티지·대중적 가격/약국 채널 강세. 동아일보
페리오(LG생활건강): 치약+가글 연계 프로덕트 마케팅, 대형마트·프로모션 강세. LG H&H
리스테린(Kenvue): 임상/치과추천·프리미엄 포지셔닝·글로벌 캠페인 자산. kenvuepro.com

5-5. 필요역량

P&L 관리 / 연간 사업계획 수립
“브랜드 매출/마진 개선을 위한 SKU rationalization(비효율 SKU 축소), 프로모션 ROI 기반 예산 재배분을 통해 단기 매출과 장기 브랜드 가치 균형을 맞추겠다.”

KPI 예시: 월별 매출, 프로모션별 ROI, 마진% (Gross margin), SKU별 회전율.

마케팅 캠페인·프로모션 운영
오프라인(대형마트 프로모션) + 온라인(라이브커머스, 인플루언서, SNS 챌린지) 옴니채널 전략 수립 경험을 강조.

KPI 예시: 캠페인 CPA, ACOS(광고 효율), 전환율, 재구매율.

데이터 분석 역량
포인트: POS/이커머스 데이터와 브랜드 트래킹(인지·호감) 데이터를 연결해 인사이트 도출한 사례 설명.

KPI 예시: 시장점유율(MS) 변화, 브랜드 인지도(Top-of-mind), 구매전환율.


크로스펑셔널 협업(영업·재무·SCM·규제)
포인트: 프로모션 시 재고·수급, 규제(의약외품 표기) 체크 경험 또는 협업 사례 제시.

“프로모션 기획 시 세일즈와 SOP를 맞춰 발주·프로모션 캘린더를 동기화해 OOS(품절)를 최소화했습니다.”


에이전시·파트너십 관리
포인트: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작성, KPI 기반 캠페인 벤치마킹·성과 리뷰 루틴 운영 경험 강조.

“Kenvue는 ‘everyday care’에 초점을 맞춘 글로벌 CPH(consumer personal health) 리더로, 디지털·포트폴리오 최적화로 수익성을 개선 중인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출처: Kenvue FY 리포트).” kenvuepro.com


“리스테린은 ‘임상 신뢰’가 강점이므로, 한국에서는 프리미엄 치료(therapeutic) 라인 강화 + 무알콜/민트 마일드 라인으로 젊은층 접근 + 이커머스·구독 모델을 결합하겠습니다. KPI는 월별 e-commerce 매출, 신규 구독자 수, NPS로 삼겠습니다.” kenvuepro.com+1

“가격경쟁 심화 시, 단기 프로모션 대신 번들(칫솔+가글)·구독 할인·샘플 증정으로 고객 락인(lock-in)을 높이겠습니다.”
 
  • Kenvue 글로벌 핵심 KPI(최근 연매출, 유기적 성장률) 한 줄로 요약. kenvuepro.com
  • 리스테린의 핵심 제품군(무알콜, 화이트닝, 데일리 등)과 각 제품의 타깃(누구에게 어필하는지). kenvuepro.com
  • 한국 경쟁사(가그린·페리오·덴티스테) 강점 한 줄씩. 동아일보+1
  • 3년 내 시장점유율 X%포인트 상승을 위한 3대 액션 플랜(제품·프로모션·채널).
  • P&L 개선 아이디어(예: SKU 정리, 가격정책, 프로모션 ROI 재배치).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사례 1개(숫자 포함).
  • 에이전시·내부협업에서 발생했던 갈등 해결 사례(STAR 구성).
  • 질문 리스트(회사·팀·성과 기대치) 3개.
  • “리스테린을 한국에서 더 키우려면 무엇부터 하겠는가?” → 옴니채널·프리미엄 라인 집중·로컬 프로모션 최적화.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 “P&L 압박이 심하면 어디를 자르겠는가?” → 저효율 SKU·저ROI 매체·비효율적 프로모션 재검토.
  • “디지털 성과 측정은 어떻게 하겠는가?” → CPA, CAC, LTV, ROAS, 재구매율로 캠페인별 대조 측정.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