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마음 읽는 방법 핵심정리 (노영래 교수)




여자, 얼굴, 포토 몽타주, 사진 앨범, 세계, 인구, 미디어, 시스템, 편물, 뉴스, 개인


  • 과시소비와 과소비의 차이점은 과소비는 낭비의 결과이고 과시소비는 낭비의 개념보다는 타인에게 보여주기위한 소비이다. 충동소비와 과시소비 모두 지속될 경우 과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 (= 헤프다)

  • 무조건 비싼 제품을 산다고 과소비는 아니다. (소득수준 고려)

  • 밴드웨건효과의 반대말은 스놉효과 (속물, 백로효과)이다.

  • 과소비의 대표적 문제점 중 하나는 타인의 소비만을 과소비라고 보는 경향 


  • 상징소비는 상품의 소비로부터 얻는 이미지지로부터의 더 큰 비중 - 이미지에 초점을 둔 광고전략으로 차별화 욕구에서 비롯, 소비하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 상징이다. 

  • 환경 보호에 대한 의식 증대는 소비 생활의 변화중의 하나이다.

  • 최근 소비트렌드: 아껴 쓰고, 바르게 쓰며, 똑똑하게 쓴다!

  • 저성장 지속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가치소비가 확산 
  • '푸어세대' 등장 <- 금융불안, 물가인상, 주택경기침체 
  • 가격에 민감하여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적합한지 따지는 가치 소비 트렌드 
  • 필수품목은 초저가 / 욕망품목은 지출을 아끼지 않는 양면소비 존재 

  • 소비주도층 20-30대 / 경제력은 보유한 50-60대 뉴시니어/ 남성소비자/ 맞벌이 / 1-2인 가구

  • 감성의 의미 변화 -> 과거:현재 = 충동:감동 




  •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소비와 관련된 정보가 공공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노력이 필요 

  •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간접 대면 감정노동자들이 직접대면자들 보다 스트레스가 더욱 심각한 편이다.


  • 최근에는 고관여 제품에도 유머의 요소를 넣은 광고를 통해 젊은층 유입을 늘리고 있음
  • 일반적으로 고관여제품은 신뢰를 중심으로 하고 저관여제품은 분위기를 중심으로 함


  •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의 단계와 유형은 소비자가 처한 환경, 소비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 자극에 대한 반응의 형태에 따라 달라짐.
  • 소비자 구매행동은 소비의 주체자인 사람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복잡한 사회적 행동


  • 소비심리는 행동을 자극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들과 관련이 있다.


  • 준거집단에 소속된 사람은 소속감을 갖게 되나 동시에 남과는 다른 독특성을 추구하게 됨으로 이에 따른 소비자행동은 어떠한 제품을 구입함으로서 사회적인 불이익 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음,

  • 소비자행동은 어떤 제품을 구입하거나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가지는데 대한 모든 행동들을 말하며 외부의 영향을 받기가 쉬움 







제가 준비한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재밌게 보셨거나 궁금한점이 있으시다면 아래에 댓글 부탁드립니다. (익명댓글도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0 Comments